태그

2010. 4. 19.

서울시 생태정보시스템

http://ecoinfo.seoul.go.kr/

서울시 생태정보시스템

중랑천 철새보호구역 하류

중랑천은 서울의 동북쪽에서 흘러들어와 성수대교 부근에서 한강과 합쳐지는 한강의 주요 지천으로 중랑천 하류에는 모래톱이 형성되어 조류의 서식처가 되고 있습니다.

아파트와 고층빌딩이 가까이 있는 도심 한가운데지만 원앙, 고방오리, 흰죽지 등 연간 40~50종, 무려 4,000~5,000마리에 이르는 다양한 종의 겨울 철새를 관찰할 수 있으며, 1~2월에는 철새관찰교실이, 5~8월에는 탐험교실이 열립니다.


겨울철새가 서울에서 가장 많이 찾아오는 중랑천 하류와 청계천 하류를 [철새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조류 서식환경을 보전하며, 장기적으로 철새가 청계천을 통해 도심으로 유입토록 유도하기 위하여 청계천 하류지역(고산자교~청계천과 중랑천 합수부) 2.0㎞(361,316㎡) 과 중랑천하류(청계천과 중랑천 합수부~중랑천과 한강의 합수부) 3.3㎞(591,407㎡) 구간을 2005.2월 및 2006.3월 철새보호구역으로 지정하였다. 주요 철새로는 오리류(청둥오리, 쇠오리 등), 갈매기류, 황조롱이 등으로 매년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다.
철새보호구역의 관리를 위하여 2005년도에 갈대, 물억새 등 철새은폐식물 식재(73,760㎡), 자전거도로 이설(482m), 철새관찰시설 2개소(서울숲, 응봉산) 설치, 철새보호구역 안내표지판(6개) 및 표주(12개) 설치 등을 시행하였으며, 2006년도에는 청계천하류 지역에 철새보호구역 안내판(2개), 해설판(14개) 및 녹지대에 물억새 등을 보완 식재하였다.

지정일시 : 2005. 2. 16
지정구간 : 청계천,중랑천 합류부(살곶이다리) ~ 중랑천하류 한강 합류부
지정규모 : 연장 3.3㎞, 면적 591,407㎡(178,900평)
지정사유 :
서울시에서 찾아보기 힘든 대규모 겨울철새 도래지역 (최대 52종 약1만여 마리)
주요도래 철새 :
오리류(청둥오리 등), 갈매기류, 황조롱이 등


행위제한

보호구역내에서는 수변 또는 수면지역으로의 출입을 금지하며, 야생동,식물의 포획,채취,이식 ,훼손하거나 고사시키는 행위, 화약류,덫,올무,그물,함정을 설치하거나 유독물,농약 등 살포, 건축물 기타 공작물의 신축,증축 및 토지의 형질변경, 토석의 채취, 하천,호소등의 구조 변경, 수위 또는 수량에 증감을 가져오는 행위, 유독물 버리는 행위, 취사 또는 야영, 안내판,표식물의 오손 또는 훼손 등의 행위를 제한하였다.

중랑천 현황

ㅇ 서울특별시 행정구역 유로연장 20.47㎞ (중랑천 전체 유로연장 34.8㎞)
=- 국가하천으로 관리하는 구간 연장 : 20.47㎞ (서울시 구간 해당)
ㅇ 서울특별시 행정구역 관할 유역 면적 180.30㎢ (중랑천 전체 유역면적 296.04㎢)


ㅇ 중랑천의 총 유로연장은 34.8km, 유역면적 296.04㎢ 의 국가하천으로서, 서울시 구간 연장은 20.47㎞이다.
ㅇ 중랑천의 발원지는 경기도 양주시 불국산에서 발원하여 의정부를 관통하고, 서울시를 지나 한강 본류의 성수대교 우안으로 유입되는 한강의 제1지류이며, 청계천, 우이천, 당현천, 백석천, 부용천 등의 제1지류와 전농천, 정릉천, 화게천, 민락천 등의 제2지류가 있다.
ㅇ 1979년 중랑천 하수처리장(물재생센터)을 건설한 이후 하수처리장 확충사업 추진으로 수질오염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졌다.
ㅇ 자연변 녹지대의 생태적 기능 확보와 주민을 위한 수변 휴식공간을 제공을 위하여 관할 자치구에서 공원시설물 조성 및 주민 휴식과 볼거리 제공을 위하여 유채, 억새, 갈대 등을 식재


ㅇ 하천지정 근거 및 일자 : 1971.12.30 (서울시고시 268호)


ㅇ 저서동물 : 실지렁이, 거머리, 말거머리, 왼돌이물달팽이, 수정또아리물달팽이 등 6종 출현
ㅇ 어류 : 잉어, 붕어, 떡붕어, 참붕어, 누치, 강준치, 끄리, 치리, 피라미, 버들치, 미꾸라지, 미꾸리, 메기, 동사리 14종 출현
ㅇ 육상식물 : 오리새, 뚝새풀, 개밀, 돌피, 사초, 괭이사초 등 153종 출현
ㅇ 수생식물 : 말즘, 개구리밥, 개수양버들, 갯버들, 물쐬뜨기, 바보여뀌, 고마리 등 56종 출현
ㅇ 육상곤충 : 실베짱이 sp., 여치 sp., 섬서구메뚜기, 벼메뚜기, 애긴노린재, 무늬고리장님노린재 등 49종 출현
ㅇ 조류 : 중대백로, 쇠백로, 왜가리, 청둥오리,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참새, 쇠오리 등 27종 출현


ㅇ 자연 하천변 공원으로 일용인부 활용하여 하천변 공원내의 수목, 시설물 유지관리를 하고 있고, 시설물은 항시개방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공원시설물의 보수 정비를 통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이 되도록 운영하고 있음.


하천법에 의한 제한사항

2010. 4. 11.

노노뮤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가 들어 있는 곳입니다요.
음악은 어떻게 하면 올릴 수 있을 것인가?
내가 노래를 불러야 하나?
참 어려운 일이다.
이런

2010. 4. 8.

나무는 나무는

나무는 항상 서있습니다. 별반 다른말도 아닙니다만
그렇습니다.
나무를 거구로 한 번 보세요

나무보러가기


2010. 4. 2.

관악산의 양서류





2008현재
계곡산개구리, 북방산개구리, 한국산개구리, 도룡뇽
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서울 관악산의 1997년과 2008년 12년간 양서, 파충류 출현 현황 변화를 보면

1997년 양서류 15종 이었으나 현재 4종만 관찰되었습니다. 

1997년 관찰된 양서류

개구리과
계곡산개구리, 금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옴개구리, 참개구리, 한국산개구리

도룡뇽과
꼬리치레도룡뇽, 네발가락도룡뇽, 됴룡뇽, 

두꺼비과
두꺼비, 물두꺼비

맹꽁이과
맹꽁이

무당개구리과
무당개구리

청개구리과
수원청개구리, 청개구리




산업화, 도시화가 되기전인 아주 양호하고 수려한 자연경관과 함께 다양한 수계가 형성되었을 때는 다양한 종류의 양서류가 산림과 연계된 녹지경관에 서식하고 있었습니다.
하천의 오염과 녹지축의 단절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한 자연생태계의 파괴가 가속되면서 
유일하게 습지에 남아있는 지역 혹은 인간의 간섭이 적은 지역에 만 소수의 종들이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양서류가 줄어든 원인
양서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자연적인 현상
오존층 파괴- 자외선 증가
부화 및 발생율 저감(생물 다양성 감소)
지구 온난화- 기온상승
생리 생체적 리듬 이상
산성비
산성호르몬 - 내분비계 생식기 이상
곰팡이에 의한 감소

인위적 현상
서식처 및 산란장소 소실- 환경변화
습지의 매립 및 훼손으로 인한 감소
수변 습지대감소(하천직강화, 고수부지 콘크리트화)
인간 야외활동 증가
보신문화에 의한 포획
살충제, 농약, 독극물 감염
농업의 기계화
신설도로에 의한 이동장애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녹지축의 단절화 




양서∙파충류는 생태계내에서 식물연쇄, 에너지의 흐름과 개체군의 크기조절 등에 있어서, 이들의 생태적 지위는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서식지에서는 해충을 잡아먹어 인간에게도 유익한 역할합니다. 

양서∙파충류의 주요 서식지는 종마다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양서류의 경우 평지의 밭, 논과 수로 풀밭과 저지대의 물이 고여 있는곳 
그리고 자연림이 잘 보전된 계류가 있는 곳입니다.


대부분 서식지가 인간이 활동하는 곳과 인접하고 있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