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 학교녹화 계획
1100. 향토수종의 식재
(가) 개념 및 특성
○ 다양한 수종들은 나름대로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학교녹화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지역의 환경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수종을 가장 쉽게 선정하는 방법은 그 지역에 자생하는 향토수종을 활용하는 것이다. 향토수종은 그 지역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식물이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역의 정체성을 높이는 등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 계획지침
○ 다양한 수종들은 오랜 세월동안 자연환경에 적응해 오면서 각 수종마다 생태적 특성에 맞는 환경조건을 가진 지역에 분포하게 된다.
○ 지역별 분포수종을 파악하고, 그 지역의 향토수종을 식재하는 것이 지역환경에 잘 적응하고 하자율(瑕疵率)도 줄일 수 있다.
○ 향토수종을 식재하면 주변의 경관과도 잘 조화되는 식재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
○ 남부수종의 경우 생육한계선을 파악하여 기온조건 등 식재적합성을 파악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자연적인 환경조건에서는 분포하지 않는 수종도 관리가 된다면, 식재지역이 더 추운 지역까지 넓어질 수 있다.
○ 향토수종의 식재시에는 상층, 중층, 하층을 모두 고려하여 다층구조가 되도록 식재하는 것이 생태적으로 바람직한 식재방법이다.
○ 향토수종의 식재는 비료, 농약살포로 인한 환경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고, 겨울철 수목관리를 위한 비용을 줄이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학교녹화계획방법이다.
층 위
|
수 종
|
상 층
|
갈참나무, 산벚나무, 굴참나무, 팥배나무, 느티나무, 음나무, 밤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상수리나무, 느릅나무, 산뽕나무
|
중 층
|
때죽나무, 단풍나무, 진달래, 물푸레나무
|
하 층
|
국수나무, 조록싸리, 청가시덩굴, 참싸리, 노박덩굴, 참빗살나무, 두릅나무, 담쟁이덩굴, 나무딸기, 인동덩굴, 병꽃나무
|
지역별 분포 수종
지 역
|
분 포 수 종
|
남부동해안
|
곰솔 + 전국공통 Ⅰ, Ⅱ형
|
중남부 내륙산악형
|
계수나무, 은행나무, 구상나무, 독일가문비나무, 금송 + 전국공통 Ⅰ, Ⅱ형
|
중부평지 다우형
|
전국공통 Ⅱ형
|
중부서해안형
|
전국공통 Ⅰ, Ⅱ형
|
남부서해안형
|
곰솔, 호랑가시나무, 피라칸사스, 광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
남부평지다우형
|
계수나무, 은행나무, 구상나무, 곰솔, 독일가문비나무, 호랑가시나무, 피라칸사스, 광나무 + 전국공통 Ⅰ,Ⅱ형
|
대구분지형
|
계수나무, 은행나무, 구상나무, 금송, 독일가문비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
남해안형
|
곰솔,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식나무, 호랑가시나무, 피라칸사스, 광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
제 주 도
|
구상나무(한라산),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식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
울 릉 도
|
후박나무 + 전국공통 Ⅰ, Ⅱ형
|
전국공통 Ⅰ형
|
피나무, 모감주나무, 주목, 미선나무, 해당화, 인동덩굴, 맥문동, 도라지, 천일홍, 샤스타데이지, 느릅나무, 물푸레나무, 가중나무, 쉬나무, 참빗살나무, 참중나무, 보리수나무, 박태기나무, 붉은병꽃나무, 병아리꽃나무, 무궁화, 말발도리, 부용, 사철나무, 금테사철, 은테사철, 이대, 으름덩굴, 등나무, 담쟁이덩굴, 으아리, 잔디
|
전국공통 Ⅱ형
|
회화나무, 소나무, 조릿대, 칠엽수, 솔송나무, 서양측백, 연필향나무, 화백, 잣나무(울릉도, 제주도 제외), 황매화, 명자나무, 개동청목, 꽃잔디
|
자생식물의 계절별 꽃색에 의한 분류
흰색계
|
노랑색계
|
붉은색계
| |
봄
|
둥글레, 남산제비꽃, 노루귀, 돌단풍, 바위취, 산작약, 풀솜대, 홀아비꽃대, 애기나리, 윤판나물, 은방울꽃, 흰민들레, 흰젖제비꽃, 모데미풀, 민백미꽃, 노랑무늬흰붓꽃, 광대수염 등
|
노랑제비꽃, 동의나물, 양지꽃, 민들레, 돌나물, 복수초, 애기똥풀, 피나물, 좀씀바귀, 금마타리, 괭이밥, 금새우난, 노랑붓꽃, 뱀딸기, 솜방망이, 금윤판나물 등
|
백선, 쥐오줌풀, 앵초, 큰앵초, 벌깨덩굴, 산달래, 긴병꽃풀, 깨깽이풀, 왜제비꽃, 꿀풀, 자란, 금낭화, 고깔제비꽃, 뻐꾹채, 알록제비꽃, 처녀치마, 할미꽃, 제비꽃, 골무풀, 붓꽃, 금란초, 조개나물, 땅비싸리, 광대나물 등
|
여름
|
흰매발톱꽃, 기름나물, 꿩의다리, 삽주, 약모밀, 초롱꽃, 참취, 톱풀, 까치수염, 터리풀, 장구채, 옥잠화, 부추, 바디나물, 전호, 누룩치, 눈개승마, 단풍취 등
|
원추리, 물레나물, 미나리아재비, 좁쌀풀, 돌양지꽃, 딱지꽃, 뱀무, 매미꽃, 벌노랑이, 기린초, 솔나물, 금불초, 금방망이, 곰취, 바위채송화, 마타리 등
|
꽃창포, 이질풀, 상사화, 노루오줌, 분홍바늘꽃, 석잠풀, 금꿩의다리, 하늘나리, 땅나리, 부처꽃, 참나리, 층층이꽃, 엉겅퀴, 메꽃, 패랭이꽃, 왜성술패랭이, 제비동자꽃, 동자꽃, 냉초, 꼬리풀, 비비추, 두메부추, 용머리, 범부채, 섬초롱꽃, 산오이풀, 지리터리풀 등
|
가을
|
낙동구절초(구절초류), 물매화, 바위솔,뚝갈, 천궁 등
|
감국, 털머위, 미역취, 조밥나물, 산국 등
|
꽃무룻, 둥근잎꿩의비름, 꽃향유, 용담, 층꽃, 벌개미취, 쑥부쟁이, 해국, 백양꽃 등
|
겨울
(상록성 자생식물)
|
맥문동, 꽃무룻, 자금우, 송악, 털머위, 마삭줄, 순수조릿대, 차나무, 인동, 석창포, 왜성술패랭이, 백화등, 처녀치마, 춘란, 속새, 바위손, 부처손, 고사리류(상록성), 석위, 도깨비부채, 구실사리, 멀꿀나무, 민병초 등
|
용 도
|
식 물 명
|
화단용
|
털머위, 용머리, 앵초, 미역취, 애기솔나물, 조개나물, 돌마타리, 도라지, 하늘매발톱, 노루귀, 할미꽃, 솔나리, 말나리, 참나리, 노루오줌, 개상사화, 백양꽃, 용담, 칼잎용담, 터리풀, 섬초롱꽃, 자주꽃방망이, 냉초, 금낭화, 물솜방망이, 자란, 섬기린초, 애기원추리, 갯취, 층꽃나무, 은방울꽃, 한라구절초, 낙동구절초, 서흥구절초
|
지피용
|
눈개쑥부쟁이, 한라구절초, 털머위, 흰갈풀, 곰취, 왜성산솜방망이, 미역취, 우산나물, 솔나물, 돌나물, 산지구엽초, 두메부추, 윤판나물, 좀비비추, 말나리, 섬말나리, 개맥문동, 매미꽃, 제주양지꽃, 흰젖제비꽃, 금낭화, 청나래 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 공작고사리, 부처꽃, 금불초, 꽃향유, 큰산꼬리풀, 냉초, 피나물, 원추리, 둥글레, 범부채, 애기기린초, 기린초, 벌개미취, 백리향, 섬백리향, 층꽃나무, 좀개미취, 일월비비추, 왜생술패랭이, 좀비비추, 감국, 마삭줄
|
실내정원용
|
소엽맥문동, 개맥문동,털머위, 섬노루귀, 매미꽃, 줄무늬맥문동, 매미꽃, 마삭줄
|
절개사면녹화
|
벌개미취, 구절초, 한라구절초, 낙동구절초, 둥근잎꿩의비름, 땅채송화, 돌마타리, 층꽃나무, 큰꿩의다리, 산국, 감국, 원추리, 기린초
|
암석원
|
둥근잎꿩의비름, 땅채송화, 할미꽃, 해국, 섬기린초, 돌단풍, 바위취, 기린초, 애기기린초, 두메부추, 백리향, 섬백리향, 층꽃나무
|
도로변 척박지녹화
|
벌개미취, 구절초류, 꽃향유, 왜성술패랭이, 산국, 감국, 원추리, 애기원추리, 붓꽃, 큰산꼬리풀, 층꽃나무, 개미취, 좀개미취, 하늘매발톱
|
호안조경용
|
창포, 돌나물, 흰갈풀, 미나리아재비, 부처꽃, 금불초, 꽃창포, 왜성꽃창포, 소새, 참좁쌀풀, 석창포, 물솜방망이, 벌개미취, 털머위, 노루오줌, 석장풀, 박하, 원추리
|
수생식물
|
갈대, 달뿌리풀, 창포, 세모고랭이, 부들, 물억새, 애기부들, 줄, 속새, 흑삼릉, 매자기
|
방향성식물
|
초롱꽃, 좀씀바귀, 달래, 산마늘, 참나물, 곰취, 개미취, 꽃향유, 자주꽃방망이, 배초향, 왜성술패랭이, 구절초, 감국, 백리향, 섬백리향, 산부추, 참산부추, 쑥, 창포, 솔나물, 파드득나물, 미나리
|
울타리방음벽
|
담쟁이, 송악, 줄사철, 마삭줄, 인동, 으름덩굴, 멀꿀, 사위질빵
|
해안식재
|
갯기름나물, 기린초, 부처꽃, 산국, 층꽃, 해국, 순비기나무, 해당화, 왕갯쑥부쟁이, 땅채송화, 도깨비부채, 원추리, 참나리
|
식재지역
|
특성 및 수종
| |
상록수아래
|
․교목 상록성 수목의 하층식재는 상록성수종은 식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작은 면적의 소나무 군식지역 : 벌개미취, 원추리, 용머리, 붓꽃, 구절초, 섬초롱꽃
․넓은 면적의 녹음이 짙은 군식지역 : 산거울, 범부채, 비비추, 춘란 등
| |
낙엽활엽수아래
|
․개화기에는 양지성, 개화 후에는 음지성인 수종 선정
․앵초, 금낭화, 복수초, 꽃무릇, 맥문동류, 매미꽃, 피니물, 노루귀, 수선화, 은방울꽃
| |
도로분리대 및 녹지대
|
․차량통행이 많아 분진, 매연, 바람에 강한 수종 선정
․음지와 양지가 공존하는 지역이므로 수종 선정을 융통성있게 함
․양지지역 : 왜생술패랭이, 용머리, 벌개미취, 붓꽃, 원추리, 민들레, 수크렁, 섬기린초, 용머리, 돌나물, 흰갈풀
․반음지 및 음지지역 : 비비추, 범부채, 옥잠화, 맥문동, 석창포, 마삭줄, 송악
| |
보행섬, 가로화단
|
․교통량이 많고 복사열에 의해 건조화가 쉬운 지역
․건조에 강하고 키가 작은 수종 선정
․왜생술패랭이, 용머리, 원추리, 민들레, 기린초, 붓꽃, 층꽃 등
| |
절개지역
|
․절개지는 건조지, 적습지, 습지가 공존하는 지역이므로 선정시 유의
․자생식물 종자를 Seed Spray하여 녹화 가능
․건조지 : 구절초류, 쑥부쟁이류, 층꽃, 기린초, 왜생술패랭이, 용머리, 수크렁
․적습지 : 원추리, 붓꽃, 인동, 까치수염, 범부채, 옥잠화, 비비추
․습지 : 꽃창포, 벌개미취, 부처꽃, 금불초, 흰갈풀
․Seed Spray 가능종 : 감국, 구절초, 꽃향유, 솔나물, 쑥부쟁이, 수크렁, 띠, 왜성술패랭이, 애기똥풀 등
| |
공간이 넓은 잔디밭의 화단
|
․양지식물로 건조에 강하고 개화기간이 긴 식물
․잎이 처지거나 마르는 현상 없이 오래 유지되는 수종
․왜생술패랭이, 용머리, 원추리, 구절초, 쑥부쟁이, 할미꽃
| |
연못, 습지, 호안주변
|
․조류, 어류, 곤충의 서식환경 형성에 도움을 주는 수종
․수질정화 및 수중저토층의 토양개량에 적합한 수종
․토사유출을 막고, 수변경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수종
| |
추수식물
|
․수중의 토양에 뿌리를 내려 수면보다 높게 잎을 신장시키며 생태적 기능, 호안보호, 수변경관 형성
․서식유속범위 : 0.05~0.4m/s
․송이고랭이, 세모고랭이, 올방개, 갈대, 줄, 큰고랭이, 부들류, 도루박이, 창포, 혹삼릉, 방울고랭이, 매자기, 달뿌리풀, 물억새, 택사, 노랑꽃창포 등
| |
부엽식물
|
․수면아래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잎과 줄기는 수면위에 신장
․호수의 부영양화 예방, 어류의 산란 및 치어의 성장에 도움
․서식유속범위 : 0~0.2m/s
․노랑어리연꽃, 수련, 왜개연꽃, 자라풀, 어리연꽃, 마름, 순채, 가래, 물여뀌, 연, 가시연꽃, 네가래
| |
침수식물
|
․수중의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잎과 줄기가 수중에서 성장
․수질오염이 심하면 적응하지 못하며 조류와 어류의 먹이 역할
․서식유속범위 : 0~1.5m/s
․나사말, 검정말, 물질경이, 말즙, 말, 줄말, 나자스말, 물수세미
| |
식생호안
|
․수위증감과 유속에 의한 훼손이 우려되므로 식재후 착근, 활착할 수 있는 수종
․수변경관 형성에 도움이 되는 수종
․수변 : 갈대, 물억새, 달뿌리풀, 창포, 큰고랭이, 노랑꽃창포, 도루박이, 매자기, 흑삼 릉, 방울고랭이, 택사, 부들, 줄 등
․수변과 둔치사이 : 누운갯버들, 흰갈풀, 붓꽃, 꽃창포, 부처꽃, 석창포, 골풀 등
․둔치 : 갯버들, 수크렁, 벌개미취, 금불초, 흰갈풀, 꽃창포, 부처꽃, 왕원추리 등
| |
방음벽, 담장 펜스, 벽면 등
|
․방음벽, 담장 등 입면 : 담쟁이덩굴, 줄사철, 마삭줄, 능소화, 백화등, 송악
․펜스, 철구조줄 등 : 인동, 멀꿀, 으름덩굴, 노박덩굴, 댕댕이덜굴, 계요등, 후추등, 오미자, 머루, 개머루, 새머루, 등칡, 다래, 하늘타리, 사위질빵, 으아리, 할미질빵 등
|
사인시설, 식물이름표, 숲해설, 자연해설을 기획, 디자인, 제작까지... 02-927-7250 www.ecoperm.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